잘 있던 강아지가 어느 날 갑자기 점액질의 혈변을 본다면 누구나 놀랄 것입니다. 저희 부모님도 강아지를 키우시는데요. 밤에 강아지가 갑자기 피 섞인 끈적한 점액질의 혈변을 봐서 깜짝 놀라셨습니다. 저에게 전화가 와서 난리가 났다가 급하게 24시간 하는 동물병원에 데려갔는데요. 검사를 해봤지만 별다른 이상이 없었습니다. 강아지도 팔팔하게 잘 돌아다녔고요.
다음날 까지 상태를 보자는 말에 뜬눈으로 밤을 새운 부모님... 아침이 되어서 멀쩡하게 사료도 먹고 활발하게 있는 모습을 보고 한시름 놓았는데요. 그날 저녁이 되자 또! 또 혈변을 싸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다시 병원에 갔지만 역시 이상 없음. 뭘 먹였는지 확인해 보던 의사는 간식으로 말린 오리고기를 먹였다는 말에 그게 원인일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안 먹던 음식을 갑자기 먹으면 혈변을 볼 때가 있다고요.
결국 오리고기는 그만 먹이기로 하고, 다른 간식으로 바꾸었습니다.
이렇게 맞지 않은 음식을 먹었을 때 점액질 혈변을 싸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것 말고도 강아지가 혈변을 보는 이유는 여러개가 있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강아지 점액질 혈변 싸는 이유
1) 갑자기 사료를 바꿔서
한가지 사료만 먹이는게 미안해서 다른 사료로 바꾸면, 갑자기 바뀐 사료 때문에 혈변을 볼 수 있습니다.
- 해결볍
기존 사료로 돌아가거나, 병원에 물어봐 강아지에게 맞는 사료로 바꿉니다.
2) 과식
단순히 많이 먹어서 그런 걸 수도 있습니다.
- 해결법
식탐이 있는 강아지라면 적정량의 음식을 먹게 조절합니다.
3) 특정 음식이 안 맞아서
부모님의 강아지처럼 특정 재료가 맞지 않아 혈변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강아지는 소고기가 안 맞는다고 하더라고요.
- 해결법
혈변을 본 전날 새롭게 먹인 음식이 있는지 생각해 보고 그 음식의 급여를 멈춥니다.
4) 뾰족한것을 먹어 장내 출혈 발생
3개월 정도의 어린 강아지의 경우 너무 딱딱하게 말려 뾰족해진 간식을 먹으면 위에 상처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대로 점액질의 혈변을 보게 됩니다.
- 해결법
너무 딱딱하거나 거친 음식은 주지 말고, 물에 불려 부드럽게 만들어 급여합니다.
5) 기름진 음식 때문에 설사
부모님네 강아지는, 3개월 정도 되었을 때 바닥에 떨어진 삼겹살을 주워먹은 적이 있었습니다. 딱 한 조각이었는데요. 그 날 저녁부터 설사를 시작하더니 2일 동안 계속하였습니다.
설사를 하다 보니 종국에는 붉은 피가 섞여나오더라고요... 다행히 약을 먹고 나았지만 이렇게 기름진 음식때문에 설사를 심하게 하면 혈변을 볼 수가 있습니다.
- 해결법
강아지가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에 유의해 급여합시다. 원래 삼겹살은 개들이 먹으면 안 됩니다. 삼겹살 외 기름이 너무 많은 고기는 주면 안됩니다.
6) 항문 찢어짐
항문 주위 피부에 염증이 생겨 부으면 피도 살짝 납니다. 그리고 딱딱한 것을 삼켜 소화가 안 된 상태에서 그대로 항문으로 나오면 항문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혹은 항문 주변에 항문낭이라는 기름샘이 있는데요. 이 항문낭이 오래되면 터집니다. 이 항문낭 파열때문에 피가 나기도 합니다.
- 해결법
소화시킬 수 있는 음식 외 이물질을 먹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소형견은 항문낭이 잘 터니지 항문낭 제거수술을 미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형견은 괜찮습니다. 변을 볼 때 힘을 많이 줘서 항문낭의 기름이 잘 나와 터지지 않습니다.
7) 스트레스
개들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혈뇨나 혈변을 봅니다. 지인 중 한명은 강아지가 자신을 물어 굉장히 크게 혼냈더니, 강아지가 혈뇨를 보아 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 해결법
이렇게 크게 혼냈거나 이사, 다른 집에 맞겨짐, 다른 개와의 접촉 등으로 크게 스트레스를 받으면 혈변을 볼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것이니 안정시켜주면 괜찮아 집니다.
8) 독소중독
독극물에 감염되어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것입니다. 시골에서 개들이 밭에 뿌려진 약을 먹고 이렇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해결법
강아지 혼자 돌아다니게 하지 말고, 반드시 목줄을 묶은 채로 산책을 하며 아무거나 주워먹지 못하게 합니다.
만약 자꾸 뭘 주워먹으면 입마개를 합시다.
9) 장염
장염은 강아지들이 혈변을 보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장염에도 세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어떠한 것들인지 살펴봅시다.
△ 바이러스성 장염 △
3개월령의 강아지들이 많이 걸리는 바이러스형 장염이 있습니다. 바로 파보바이러스에 걸리는 것인데요. 보통 펫숍, 애견 유치원, 불결한 애견 호텔에서 많이 옳아옵니다.
어린 강아지이니 만큼 바이러스에 걸리면 크게 아플 수 있습니다. 분양받은지 얼마 안 된 강아지가 혈변을 보거나, 유치원이나 호텔에 맞겼었는데 집에 오자 끈적한 혈변을 본다면 곧바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세균성 장염 △
지저분한 환경에 있으면 사람도 감염이 되듯 강아지도 마찬가지 입니다. 상한 음식을 먹었거나, 밥그릇과 물그릇이 불결한 경우 세균성 장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항상 청결을 유지해 주고, 밥그릇과 물그릇은 물론 자주 가지고 노는 장난감도 잘 씻어야 하겠습니다.
△ 기생충 장염 △
기생충에 감염되어도 혈변을 봅니다. 동물병원에서 판매하는 강아지 기생충 약을 적시에 잘 먹여야 하겠습니다. 매달 먹이는 심장사상충 약만 잘 먹여도 기생충에 감염되지 않습니다.
10) 췌장염
췌장염에 걸린 경우, 말 그대로 피를 쌉니다. 변 같아 보이지도 않는 그냥 진한 핏덩어리가 나옵니다. 그냥 딱 봐도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췌장염에 걸리면 설사와 함께 구토를 하는데, 진짜 엄청나게 많은 양의 토를 합니다. 물도 안 먹기 때문에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해결법
강아지가 췌장염에 걸리면 사료도 췌장염 사료로 바꿔야 하고, 고령인 경우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하루이틀 치료로는 어림도 없고 4~5일은 입원해야 합니다.
11) 위궤양
위궤양은 위 벽이 헐어 상처가 나는 것을 뜻합니다. 사람 위궤양처럼 강아지도 위궤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위궤양에 걸린 강아지는 피 섞인 구토를 자주 합니다. 마찬가지로 혈변도 볼 수 있습니다.
- 해결법
위궤양은 동물병원에서 잘 잡아내는 질환입니다. 처방약을 먹이면 나아집니다.
12) 암, 유선종양
림프암, 간암으로 투병중인 강아지는 혈변을 자주 봅니다. 그리고 유선종양이 있는 강아지도 혈변을 볼 수 있습니다.
- 해결법
바로 고칠 수 있는 질병이 아니므로 강아지가 조금이나마 잘 소화시킬 수 있는 음식을 주며 컨디션 유지에 신경써야 합니다.
강아지 점액질 혈변 대처법
1) 언제, 얼마나 자주 쌌는지 확인
구토나 헐떡거림 없이 딱 혈변만, 한 번 쌌다면 일단 지켜봅시다. 행동이 평소와 같고 잘 먹고 마신다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연달아 혈변을 싼다면 병원에 데려가봐야 합니다.
2) 의외로 이유를 못 찾을 수도
의외로 강아지 혈변은 흔합니다. 혈변을 보더라도 강아지는 아무렇지도 않게 금방 회복되기도 하고요. 혹은 반복해서 혈변을 보는데도 원인을 못 잡아내기도 합니다.
그냥 처방약 한번 먹으면 싹 낫는 경우도 있지만, 약을 먹는데도 계속 피똥을 싸고, 병원은 원인을 모르겠다고 하고. 그러면 큰 병원으로 데려가 정밀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3) 밥을 주지 않고 지켜보기
평소 건강한 강아지라면 하루 정도 굶어도 괜찮습니다. 갑자기 원인 모를 혈변을 봤을 때는 하루 정도는 아무것도 먹이지 않으면서 지켜봅니다. 괜찮다가 다시 사료를 급여했을 때 또 혈변을 싸면 사료를 바꾸거나 병원으로 데려갑시다.
4) 안 먹이던건 안 주기
한번도 안 먹어본걸 줬을 때 괜찮을 수도 있지만, 운이 없으면 피똥을 쌀 수 있습니다. 알러지 반응이 있을 수도 있으니, 처음 먹는 거라면 소량만 떼서 주고 괜찮으면 그때 더 줍시다.
강아지가 점액질 혈변을 싸는 이유는 정리하자면 갑자기 사료를 바꾸었거나, 과식했거나, 안 맞는 음식을 먹었을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내장에 상처가 났거나 너무 기름진 음식을 먹어도 혈변을 봅니다.
아니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거나 바이러스, 세균감염에 의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암이나 종양같은 지병이 있을 때에도 혈변을 봅니다.
강아지 혈변을 발견했다면 먼저 강아지 컨디션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와 같이 활발하고 먹이반응도 좋다면 괜찮지만, 구토를 심하게 하고, 헉헉거리고, 몸에 열이나면서 기운이 없어하면 병원에 데려가야 합니다.
'호박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아기 첫째 낳고 지원금 200만원 받기 국민행복카드 (0) | 2023.06.14 |
---|---|
베드버그 물린 사진 증상과 대처법 베드버그 퇴치제 (0) | 2023.06.07 |
곰취 먹는 법과 주의사항, 곰취 효능 (0) | 2023.05.26 |
변비에 좋은 용과 먹는 법과 샐러드 만드는 법 (0) | 2023.05.25 |
강아지 벌에 쏘였을때 증상과 대처법 (0)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