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최소 3분은 닦아야 제대로 닦는거라고 합니다. 그래서 저도 요즘 3분 정도는 닦으려고 신경 쓰고 있는데요. 이상하게 닦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구역질이 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주로 어금니 안쪽 깊숙히 닦을 때와 혀를 닦을 때 구역질이 났는데요. 왜 그런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닦을 때 구역질 나오는 이유
1) 칫솔이 목구멍을 자극해서
혀 뒤쪽에는 신경이 모여져 있는데, 이 신경이 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신경은 목구멍으로 이물질이 들어왔을때 자동적으로 구역질을 하게 해 이물질을 밖으로 내보내게 합니다. 이를 닦을 때 칫솔을 깊숙히 밀어넣으면, 이 신경들이 칫솔을 이물질로 인식해 구역질을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2) 너무 세게 양치질을 해서
양치질을 너무 세게 해도 이 구역질 신경이 반응합니다. 너무 세게 닦는다고 이물질이 잘 떨어지지도 않을 뿐더러 치아의 법랑질을 상하게합니다.
3) 입을 너무 크게 벌려서
이를 닦을 때 입을 크게 벌리고 안쪽에 칫솔을 넣어 닦는데요, 입을 지나치게 크게 벌리면 혀 뒤쪽 신경들이 한쪽으로 모여져 칫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4) 치약이 안 맞아서
치약의 향이 너무 강하다거나, 알갱이가 있거나, 거품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치약인 경우 이 닦을 때 구역질이 더 심하게 나옵니다.
5) 역류성 식도염이 있어서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사람은 구역질을 자주 하지요. 자극에도 약해 칫솔이 조금만 닿아도 금방 구역질이 날 수 있습니다.
6) 과음, 과식
전날 과음을 했거나, 과식을 했을 경우 아침에 양치할 때 구역질이 많이 납니다.
이 닦을 때 구역질 안 하는 방법
1) 살살 닦기
올바른 양치질 중 하나는, 치아를 살살 닦는 것입니다. 너무 세게 문지르면 오히려 치아를 상하게 만듭니다. 닦고자 하는 부분에 칫솔 대고, 위 아래로 쓸어 문질러 줍니다. 그러면 더 깨끗히 닦을 수 있고, 구역질도 나지 않습니다.
2) 칫솔과 치약 바꾸기
칫솔 머리를 더 작은 것으로 바꾸고, 치약도 향이 적거나 아예 없는 것을 선택합니다. 이를 닦을 때 자극이 덜해 구역질이 줄어듭니다.
3) 칫솔로 혀 닦지 않기
칫솔로 혀를 닦는 것은 사실 좋지 않습니다. 혀 안쪽까지 닦으려고 깊숙히 집어넣으면 당연히 구역질이 납니다. 칫솔 말고 혀클리너를 구매해 닦읍시다.
혀클리너로 혀 잘 닦는 법
1) 세게 누르지 않기
칫솔이 아니라 혀클리너로 혀를 닦는다고 세게 눌러도 되는 건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살살 닦아야 합니다. 세게 세번만 왔다갔다! 이게 아니라 살살 여러번 문질러 부드럽게 닦아냅시다.
2) 입을 조금만 벌리기
혀는 입 밑바닥에 붙어있기 때문에 입을 작게 벌려도 충분히 다 닦을 수 있습니다. 너무 크게 벌리면 또 구역질이 날 수 있으니, 적당히 벌려서 닦읍시다.
3) 다른 손으로 혀 끝을 잡고 닦기
혀 안쪽을 닦을 때, 다른 손으로 혀 끝을 잡아놓고 닦으면 수월합니다. 마찬가지로 살살 닦아야 하고, 구역질이 나올 것 같으면 멈춥시다.
4) 닦으면서 코로 숨 쉬기
콧구멍을 크게 확장해 코로 숨 쉬면서 혀를 닦으면 구역질이 훨씬 덜 납니다. 입을 벌리고 혀를 살짝 내놓은 채로 코로 숨쉬기 연습을 해봅시다.
이렇게 이 닦을 때 구역질 나오는 이유와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결국 구역질은 입 안에 너무 큰 자극이 들어갔을 때 우리 몸의 신경이 반응해 나오는 것으로, 이를 방지하려면 칫솔을 작은 것으로 바꾸고 치약도 순한 것을 쓰며, 이를 닦을 때 살살 닦아야 하겠습니다. 또한 혀는 칫솔보다 혀클리너를 이용하는 것이 자극이 덜 가 구역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농부의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바닥이 뜨거워요 원인과 해결법 (0) | 2023.06.28 |
---|---|
다이어트 중 단게 땡기는 이유 (0) | 2023.06.25 |
가드름 등드름 없애는 법 (0) | 2023.06.20 |
아토피 피부염 환자 보건소에서 무료로 연고 받기 (0) | 2023.06.11 |
30대 임플란트 1개에 4개월 걸린 후기 (0) | 2023.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