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부의건강

겨드랑이 멍울 잡히는 원인과 대처방법

by 호박밭 2022. 2. 12.

남자가-팔베게를-하고-썬베드에-누워있다
겨드랑이

어느 날 문득 겨드랑이에 멍울이 잡힐 때가 있습니다. 주로 옷을 갈아입을 때나 운동할 때, 샤워할 때 눈치 채게 되는데요. 갑자기 겨드랑이에 이물질이 잡히니 무슨 큰 병이 걸린 것은 아닌지 걱정하게 됩니다. 사실 신체에 멍울이 잡히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는 정말 심각하게 치료받아야 하는 것도 있지만 안정을 취하면 저절로 사라지는 것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겨드랑이에 멍울이 생기는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에 대한 대처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겨드랑이 멍울 원인

림프부종

우리 몸에는 림프절이라는 기관이 있습니다. 전신에 분포되어 있으면서 우리 몸의 혈액 외 다른 액체의 순환을 맡아 몸이 정상적으로 잘 돌아가게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 림프절은 겨드랑이, , 서혜부 쪽에 많습니다. 그런데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세균이 침투하면 이 림프절이 부어오릅니다. 림프절이 부어오르면 해당 부위에 멍울이

집히는데요. 이렇게 림프절이 부은 증상을 림프 부종이라고 합니다.

 

이 림프부종은 겨드랑이 뿐만 아니라 목, 서혜부 등 림프절이 있는 곳은 어디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림프부종 때문에 생긴 겨드랑이 멍울은 만져 봤을 때 말랑말랑하고, 안에서 움직이는 느낌이 들며 살짝 아프기도 합니다.

 

모낭염

우리 몸에는 털이 나오는 모낭이 빼곡히 있습니다. 특히 겨드랑이에 마찰을 방지하고 민감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굵은 털이 납니다. 현대인들은 미관상 좋게 하기 위해 이 겨드랑이 털을 제모하는데요. 털을 제거하기 위해 면도기나 면도 크림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겨드랑이 피부가 워낙 얇고 예민한지라 제모 시 사용한 도구 때문에 모낭이 감염되어 염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모낭이 부풀어 오르면서 멍울처럼 됩니다. 이 때 멍울 안에는 염증으로 인한 진물과 고름이 차 있습니다. 붉게 부풀어 오르면서 아프니 고름을 제거하고 약을 발라야 합니다. 또는 짧게 제거 된 털이 겨드랑이 살 속으로 파고들어 자라는 인그로운 헤어가 되는데요. 생살을 털이 파고들어가는데 멀쩡할리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부어 오르면서 염증이 생기니 빨리 털을 제거해야 합니다.

 

 

피지낭종

피부 밑에는 유분을 분비하는 피지선이 있습니다. 여기서 적당히 분비되는 유분은 모공을 통해 나와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보호하고 더 윤기있어 보이게 합니나. 문제는 적당히 분비되지 않을 때 있습니다.

 

모종의 이유로 피지선에서 유분이 너무 많이 분비되거나, 분비된 유분이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으면 모공이 막히고 염증이 생겨 곪게 됩니다. 그러면 피부 밑으로 크게 피지덩어리가 생기는데요. 이것을 피지낭종이라고 부릅니다.

 

피지낭종은 우리 피부가 유분기를 만들어 내는 한 몸 어디서든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자주 생기는 부위가 있는데요, 우리 몸 중 특히 유분이 많이 분비되는 곳이거나 몸의 구석에 있어 깨끗히 씻기가 힘든 곳에 많이 생깁니다.

 

겨드랑이가 바로 그런 곳중 하나입니다. 모근이 많이 모여 있어 유분기도 많이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겨드랑이 외에도 귀 뒤, 엉덩이, 서혜부에 많이 생깁니다.

 

부유방

보통 사람이라면 두 개의 유방을 가지고 있는 것이 당연지사. 여성은 유선 조직이 증식해 유방이 크게 자라납니다. 그런데 이 유선 조직은 앞가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겨드랑이, , 길게는 서혜부와 허벅지까지 분포해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앞가슴 두 개만 눈에 띄게 나오는 것이 정상인데요. 어떤 사람은 다른 곳의 유선이 성장해 볼록 튀어나옵니다. 물론 일반 가슴처럼 크게 자라지는 않습니다만 살덩이라고 인식할 정도로 나옵니다. 이것을 부유방이라고 부릅니다.

 

이 부유방이 겨드랑이 쪽에 생기면 멍울이 잡히면서 불룩 튀어나옵니다. 만지면 통증이 느껴지기도 하고 월경 전후에 더욱 느낌이 불편해 집니다. 사람에 따라 분비물 모유? 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유방암

겨드랑이 멍울의 최악의 원인으로 유방암이 있습니다. 유방암의 증상으로는 팔을 위로 들었을 때 가슴 옆쪽, 겨드랑이로 멍울이 만져집니다. 유방암 멍울은 림프절 멍울과는 다르게 완전 단단하며 만져도 아프지 않습니다. 유방암이 더 진행되면 겨드랑이 멍울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피부 괴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겨드랑이 멍울 없애는 방법

1) 림프절이 부었을 때

림프절이 부어서 겨드랑이 멍울이 생겼다면 며칠 놔두면 자연적으로 없어집니다. 림프절이 붓는 이유는 면역력이 떨어졌거나 피곤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감기에 걸렸거나 장염을 세게 앓아 몸이 약해지면 이때다 하고 부어오릅니다.

 

그리고 겨드랑이 림프절은 목이나 얼굴과도 가까워 목이나 구강, , 눈에 염증이 생기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편도선염, 중이염, 구내염 등이 생기면 겨드랑이가 멍울 처럼 잡힙니다. 거꾸로 생각해보면 이런 염등이 생기는 까닭은 피로나 스트레스, 영양소 부족이 원인이니 잘 먹고 쉬면 괜찮아 집니다.

 

2) 피부 염증인 경우

모낭염이나 피지낭종인 경우에는 피부과에 가서 염증을 제거하면 됩니다. 집에서 직접 짜는 경우가 있는데 자칫하다가는 상처가 또 감염되니 그냥 얌전히 피부과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3) 부유방 치료

겨드랑이에 생긴 부유방은 단순 지방덩어리가 아닙니다. 유선 조직과 신경, 림프절이 엮여있기 때문에 전문 병원에 가서 수술로 제거를 해야 합니다

 

부유방은 보통 아기를 출산한 산모들이 모유수유과정에서 많이 나타나며 수유기간이 끝나면 사라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생긴 부유방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작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프고 불편하다면 아이스팩을 겨드랑이에 끼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만약 수유기간이 끝나도 사라지지 않고 월경 때마다 찌릿거리고 아프다면 그냥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삶의 질적인 면에서 좋습니다.

 

4) 유방암 치료

겨드랑이 멍울이 유방암으로 판정난 경우, 유방암 전문 병원에 가서 항암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암의 진행 상황에 따라 초기라면 수술을 받지 않고 치료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많이 진행되어 전이 위험이 있다면 유방절제술로 암을 제거해야 합니다.

 

코로나 백신 후유증 겨드랑이 멍울

요즈음 전염병 백신을 맞고 백신 후유증으로 겨드랑이 멍울이 생긴 사람이 많습니다. 심각한 질병이 아닌지 많이 걱정하시는데요, 이는 림프절이 부어서 생기는 것으로 시간이 지나면 나아집니다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림프절이 붓는 이유는 백신도 바이러스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이 이길 수 있을 정도의 경미한 코로나 바이러스를 몸에 침투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백신을 맞으면 몸이 감기걸린 것 처럼 아픕니다. 앞서 말씀 드린 대로 몸이 아프고 피곤하면 림프절이 부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타이레놀을 먹고 집에서 휴식을 취하면 저절로 사라집니다. 만약 증상이 1주일 넘게 지속되고 통증이 있다면 유방외과에서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