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부의건강

우체국 EMS 배송조회 하는 법, EMS 이용법

by 호박밭 2021. 9. 17.

일반인이 해외에서 택배를 주고 받을 때 주로 사용하는 EMS 서비스. 요즘 해외 구매건이 늘면서 EMS에 대한 질문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러면 EMS 는 무엇인지, 또 배송조회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EMS란?

EMS 는 Express Mail Service 의 약자로, 한국어로 국제특급우편이라고 합니다. 통신문, 서류 , 물품 등을 다른 우편물보다 우선 취급하는 신속한 우편업무로서, 나라 간 협정을 통해 서비스 됩니다. 

 

EMS 배송조회

EMS는 각 나라의 공식 우체국끼리 체결한 서비스 이므로, EMS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우체국으로 가야 합니다. 당연히 배송조회도 우체국에서 가능하지요.

 

운송장 번호 확인

상대방이 제품을 EMS 로 보낸다면, 상대는 EMS 송장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EMS 송장에는 운송장 번호가 적혀져 있는데요, 이 운송장 번호가 있어야지만 제품의 위치를 추적 할 수 있답니다. 발송인에게 이 EMS 운송장 번호를 반드시 요청 하세요!

 

운송장 번호 조회

네O버 창에 EMS 배송조회 라고 치면 아래와 같은 운송장번호 입력란이 뜨는데요, 여기에 운송장번호를 입력하면 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EMS_배송조회_페이지

 

혹은 인터넷우체국에 접속 후 EMS국제우편 행방조회 칸에 운송장 번호를 넣어도 되는데요. 귀찮으니 그냥 네O버 에서 칩시다. 어쨌든 핵심은 운송장 번호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EMS_우체국_배송조회_화면

 

 

EMS 우편 배송법

EMS 를 사용해 해외로 우편을 보내는 법을 알아봅시다. EMS로 물건을 보내려면 먼저 송장을 생성해야 합니다. 운송장 번호가 적혀져 있는 그것이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직접 우체국에 방문해 수기로 작성하거나, 인터넷으로 송장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준비물 : 수취인 이름, 영문 주소(우편번호 필히 포함), 전화번호

우체국 EMS 방문접수

가까운 우체국에 물건을 들고 직접 방문합시다. 번호표를 뽑고 중앙에 보면 서류 양식이 모여있는 테이블이 있습니다. 그 테이블에 EMS 송장도 있으니 하나 Get 합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미국에 보내는 EMS 송장과 미국 외 나라에 보내는 EMS 송장이 다릅니다. 미국에 보낼거면 미국 전용 EMS 송장을 써야 해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모르고 반대로 썼다가는 창구에 제출할 때 빠꾸를 먹을 것입니다.

 

운송장 작성 방법은, 국내에 우편을 붙일 때와 똑같습니다. 다만 영어로 적어야 한다는 것... 영어로 주소를 미리 알아놓고 갑시다. 또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우편번호를 반드시! 적어야 합니다. 우편번호가 없으면 접수가 되지 않습니다.

 

EMS 온라인 접수

인터넷 우체국에 접속합니다. 메인 화면에 EMS 온라인 송장 등록이 딱 떠 있습니다. 바로 클릭하여 들어갑시다.

 

로그인을 하면 EMS 방문 접수 선택여부를 묻는데요. 집재원이 집으로 직접 방문해 제품을 수거 해 가는 것입니다. 방문수수료가 대략 3천원에서 최대 5천원이 드네요. 방문접수를 신청하시면 제품 포장에서 부터 송장 출력까지 모두 준비를 완료해 놓아야 합니다.

 

방문접수를 원하지 않으면 송장만 인터넷으로 생성 후 제품은 직접 들고 우체국에 방문해야 합니다.

 

뒤이어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 정보를 쓰는 칸이 나옵니다. 받는 사람 정보는 모두 영어로 적어야 하는 점 잊지 마세요.

 

EMS_온라인_발송인_수취인_정보입력

 

만약 방문 접수를 희망한다면 방문접수 희망일도 정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날짜를 입력합시다.

뒤이어 어떤 품목을 보내야 하는지도 적어야 하는데요.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셔야 합니다. 내용품명 작성법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EMS_온라인접수_품명_적는_페이지

물품구분

선물인지, 판매상품인지, 상품 견본(sample)인지 선택 하세요. Sample 을 선택할 경우 관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판매 제품인 경우는 상품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 관세 내가 싫어서 허위로 작성하면 불법이니, 제품 판매자라면 꼭 상품에 체크하세요.

 

HS code 입력

뒤이어 HS code 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HS code 는 하단의 검색을 누르면 해당 HS code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용 품명

어떤 물건을 보내는지 적어야 합니다. 공책이면 note, 지갑이면 wallet 이런 식으로 적습니다.

 

개수

내가 보내는 제품의 개수 입니다. 1품목당 몇 개를 보내는지 적습니다.

 

가격

판매자라면 물품 판매금액을 적으면 됩니다. 돈 받는 물건이 아니라면 그냥 1달러로 적으면 됩니다. 어차피 물품구분에 선물, 혹은 sample 을 선택해 놓았으니 따로 관세가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순중량

물건 중량입니다. 대략적으로 적으시면 됩니다. 어차피 우체국에서 수거해 간 후 무게를 또 재거든요. 그래도 너무 차이나지 않게 적절하게 적습니다.

 

생산지

우리나라에서 보내니까 대한민국 그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이렇게 완료 하였으면 '다음'을 누릅니다. 그러면 온라인 EMS 송장 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집배원님을 기다리거나 직접 우체국으로 가져가시면 되겠습니다.

 

EMS 배송 가능지

EMS 로 배송이 가능한 지역 리스트를 첨주 합니다. 필요하신 분들 참조 하세요. EMS 칸에 X표가 되어 있는 장소는 EMS 외 다른 배송서비스를 이용해서 보내야 합니다. DHL 이나 Fedex 요. 

 

EMS접수_가능_국가_리스트

 

EMS 요금 조회

국가별 EMS요금은 온라인 우체국 홈페이지에서 쉽게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우체국 홈페이지 ->EMS국제우편 -> 국가별 요금안내 ->국제우편 요금표 순서대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표가 하나 뜨는데요, 상단의 서류/비서류를 클릭 하면 무게 별로 나라별 배송료가 얼마인지 나옵니다.

물론 이 금액은 기본요금으로 보험료등이 추가되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상 EMS 배송 조회법과 물품 보내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